전남정보문화진흥원 로고

고객광장

시장동향

[2009 핫 트렌드]경제분야

시장동향 테이블
등록자 관리자 등록일 2009-03-26
  • 폰트크기 글자
  • 폰트크기 증가 아이콘
  • 폰트크기 감소 아이콘
  • 폰트크기 되돌리기 아이콘
경제단체나 민간 연구기관이 내놓은 기축년 경제 기상도가 온통 먹구름으로 뒤덮여 있지만 새해를 맞는 IT업계의 표정이 어둡지만은 않다. 밤이 깊으면 새벽이 오게 마련이듯 2009년에도 황금알을 낳는 신시장과 신기술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전자신문은 한국경제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업계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새해 경제·산업·기술 분야에서 떠오를 가장 주목받는 트렌드를 선정했다.

◇글로벌 경기침체
올해 최대 관심사는 단연 ‘글로벌 경기침체가 얼마나 지속될지’다. 지난해 10월 시작된 금융위기발 실물경기 침체로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올해도 이런 흐름은 연초부터 이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세계은행은 지난달 전망치에서 새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0.9%로 보았으며 IMF는 11월 2.2%로 예상했다. 주요 선진국을 보면 미국은 -0.9∼-0.5%, 일본은 -0.2∼-0.1%, EU지역은 -0.6∼-0.5%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나타낼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목되는 것은 중국과 자원보유국들이다. 새해 세계 경제가 극도의 침체를 면하는 데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담당할 이들 국가가 자칫 경착륙 시 올해 세계 경기는 더욱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다. 중국 성장률은 지난해 9.4%에서 새해 7.5% 선으로 예측된다. 한스 팀머 세계은행 국장은 “그동안 장기간에 걸쳐 개도국의 탄탄한 성장세에 의해 견인돼오던 세계경제가 금융위기로 인해 커다란 불확실성으로 옮아가는 형국”이라며 “신용경색이 개도국의 투자를 위축시킴으로써 개도국의 경기둔화가 매우 뚜렷해지고 있다”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솔솔 나온다. 지난해부터 각국이 금리를 대폭 인하하는 등 공조에 나섰고, 그 여파가 서서히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르면 하반기 회복 신호가 본격화할 것이며, 특히 미국 경기가 반등에 성공하게 되면 글로벌 경기가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올해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는 우리나라에도 적잖은 타격이다. 수출 부진과 함께 내수 침체, 자산 가격하락 등으로 본격적인 경기침체 국면 진입이 예상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수출증가세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소비와 투자심리 위축이 지속되면서 민간소비와 고정투자가 감소세를 보일 것”이라며 “다만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국제공조 및 국내 경기부양 노력의 영향으로 2009년 하반기부터 성장률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탄소·녹색성장 추진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8·15 경축사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향후 60년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제시했다. 올해는 이 비전을 실현하는 원년이 된다. 정부는 의욕적이다. 지난 9월 지식경제부는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을 통해 LED·전력IT·태양광·풍력 등 9대 분야를 정하고 올해 본격적인 지원책을 쏟아낸다. 국토해양부도 산하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을 통해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이 끝나는 2월, ‘바이오에너지 개발 마스터플랜’이 나온다. 산업화 적지탐색과 민간기업 활성화 방안 등 향후 10년간 기술개발사업의 중장기 추진전략이 담긴다. 국토부는 ‘녹색물류 인증제’를 도입한다. 물류기업이 공동 배송망 활용 및 대량 수송수단으로 전환하고 장비·설비 개선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화를 추구하는 실천계획을 제시하면 이를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다.

방송통신위원회는 IPTV·와이브로 등 신성장동력 산업을 발굴하고 IT정책기관으로서의 위상 확립을 위한 ‘중장기 그린IT 전략’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이 밖에 교육과학기술부는 에너지·환경 및 미래유망융합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문화전략’ 발표를 통해 기후변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능성 게임 등을 개발하기로 했다.

새해 정부 각 부처는 녹색성장 예산을 대폭 늘렸다. 지경부가 1조7049억원으로 편성했으며, 여기에 국토해양부·교육과학기술부·환경부 등 9개 부처의 녹색성장 관련 예산을 합하면 총 3조7916억원으로 확대된다. 녹색기술 분야에 1조3096억원, 신재생 에너지 보급 및 확산에 1조3820억원, 친환경산업 분야에 1408억원, 기후변화 대응기반 구축에 1조619억원이 지원된다.

◇국제금융질서 재편
올해는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가 재편되는 해로 기억될 전망이다. 유럽통합(EU) 그리고 중국·인도 등 이머징마켓 급부상과 함께 지난해 9월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한 미국이 재조명받고 있는 것이 계기다. 이 여파로 선진국이 장악해온 국제 금융권력에 일대 변화가 올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11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브라질·인도 등 신흥시장국가가 대거 참여해 목소리를 높였다. 금융위기를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G7만으로는 한계가 있는만큼 신흥국가 참여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당시 회의 직후 한승수 국무총리는 “앞으로 국제금융질서 재편을 앞두고 한국의 중요하고 주도적인 역할이 예상된다”고 말한 것이 단적인 예다.

기축통화로서 확고한 위치를 다졌던 ‘미국 달러화’의 안정성이 크게 흔들리는 것도 일맥상통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달러화는 2002년부터 유로화의 도전을 받아왔으며 최근에는 중국 위안화, 영국 파운드화, 일본 엔화 등의 위력을 실감하고 있다. 특히 세계 1·3위의 외환보유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위안화와 루블화를 무역대금 결제 수단으로 상용화하기로 합의한 것은 기축통화로서 달러화의 가치가 흔들린 사례로 꼽을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등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의 독무대였던 국제금융기구도 서서히 재편될 움직임이 보인다. 선진국은 출연금 비율이 얼마 되지 않지만 출범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사실상 모든 결정을 내리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재원이 바닥을 드러내면서 선진국은 신흥시장국가의 협조가 필요하게 됐고, 이는 자연스럽게 이들 신흥시장의 목소리가 커지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경기침체 따른 반시장주의 확산
글로벌 경제 동반침체로 세계 각국이 자국 산업 보호의 일환으로 무역장벽을 높이는 반시장적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보호무역주의 경향이 가속화하면 침체에 빠진 세계 경제에는 더욱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이런 우려 속에서도 반시장주의 움직임은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미국의 174억달러에 이르는 자동차산업 긴급구제 방안은 사실상 정부가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여기에 프랑스 등 주요 나라에서 보호무역적 조치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지난 11월 세계 정상들이 미국 워싱턴에 모여 최단 12개월간 보호무역 조치를 새로 만들지 않고 자유시장경제의 원칙에 충실하겠다는 내용의 공동선언을 내놓았다는 점. 이 같은 선언 발표 후 불과 몇 주 만에 보호무역 움직임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선도발언에서 “우리는 최근의 어려운 경제여건을 기화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할 우려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조병희 KOTR 통상조사처장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세계 도처에서 수입 장벽을 높이고 있어 새해 우리나라의 수출 애로사항이 증가할 수 있다”며 “외국 수입규제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조기에 적극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함께 각국 정부는 자국 산업 붕괴를 막기 위한 지원도 활발히 전개한다. 미국 등 이미 각국 정부가 경제 회생을 위해 앞다퉈 지원책을 마련해 놓은 상태며, 이미 가동에 들어갔거나 본격적인 지원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 정부도 새해 경기 진흥을 위한 예산을 대폭 늘렸으며 특히 상반기를 ‘고비’로 보고 대대적 지원에 나설 채비다. 이 같은 각국의 움직임은 산업이 무너지는 것을 막는 동시에 다가올 글로벌 경기회복기에 자국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후퇴기 산업 판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취지인 셈이다.

◇인터넷전화 대중화
김종천 상무 LG데이콤 사업전략담당 겸 myLG070사업부장

지난해 유무선 통신 시장을 통틀어 가장 주목받은 서비스 중 하나는 인터넷전화였다. 선도사업자인 LG데이콤이 120만여 가입자, 점유율 60%를 확보하며 1등 사업자로 확고히 자리 매김한 데 이어, 기존 집전화 시장의 1, 2위 사업자도 가입자 이탈 방지를 위해 인터넷전화 시장에 하나 둘 뛰어들면서 시장 성장에 일조했다.

2008년이 인터넷전화 시장 성장의 토대를 다진 한 해였다면 2009년은 서비스 활성화의 원년이 될 것이다.

특히, 지난해 10월 말 시행된 인터넷전화 번호이동제는 서비스 활성화의 촉매가 될 것이다. 070으로 시작하는 번호와 기존 집전화번호 중 소비자가 자유롭게 선택해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번호 변경의 장벽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인터넷전화는 이제 기존 집전화와 대등한 MOS 4.0의 통화 품질과 번호이동제 시행에 힘입어 시내 전화의 완전한 대체재로 자리 잡게 됐다.

그뿐만 아니라, 인터넷전화는 기존 집전화에서는 구현 불가능한 무선콘텐츠서비스, 영상통화 등의 부가서비스를 통해 집전화의 개념을 바꿔놓을 것이다. 향후 와이파이(WiFi)와 셀룰러 통신기술이 결합한 유무선통합서비스(FMC)가 본격적으로 출시돼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전화와 이동전화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통신비 절감효과는 물론이고 무선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편익이 극대화될 것이다.

사업자들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양질의 서비스 제공으로 인터넷전화가 기존 집전화를 완전히 대체할 그날을 고대한다.

◇디지털방송 전환
권호영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디지털TV 서비스를 디지털 수상기로 즐기는 시청자는 많지 않다. 위성방송 가입가구 210만과 디지털케이블TV 가입가구 180만이 디지털TV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하는 가구다. 2009년에 방송 플랫폼 간의 경쟁이 본격화돼 케이블TV, 위성방송, IPTV 사업자 간에 가입자 확보 노력이 치열할 것이다.

디지털TV 서비스의 보급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디지털매체의 최대 경쟁자는 아날로그 케이블TV 서비스다. 케이블TV 사업자도 아날로그 가입자를 디지털 가입자로 전환하기 위해서 노력하지만 그 속도는 빠르지 않다. IPTV 사업자의 최대 경쟁자도 디지털 케이블TV가 아니라 아날로그 케이블TV다. 1300만 아날로그 케이블TV 가입자는 평균 월 6000원의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 채널이 대부분 포함된 50여개 채널을 시청하고 있다.

케이블TV 방송사는 많은 채널로 디지털 서비스로 유인하고 있고 IPTV 사업자는 결합서비스로 인한 가격 혜택과 풍부한 VoD 라이브러리로 홍보하고 있으며 위성방송사업자는 HD 채널을 증설하면서 고화질로 유인하고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케이블TV 가입자는 오랫동안 저가에 익숙해져 있고 돈을 더 주고도 볼 것이 별로 없기 때문에 디지털 서비스로 쉽게 전환하지 않을 것이다. 아날로그 케이블TV 가입자들을 디지털 매체로 유인하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9년에는 경기 침체로 광고 규모가 줄어들고 시청자가 주머니를 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대형 콘텐츠를 기획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틈새 콘텐츠를 찾아서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해야만 매체 간의 경쟁에서 승자가 될 것이다.

◆ IPTV 상용화
하원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기술전략연구팀장 wgha@etri.re.kr

어쩌면 생각보다 빨리 인간이 간밤에 꾼 달콤한 꿈이나 끝없이 펼쳐지는 뇌의 생각을 영상화할 수 있는 날이 올지 모른다. 미국의 학술지 ‘뉴런’ 11월호는 일본의 국제전기통신기초기술연구소(ATR) 연구진이 뇌의 활동을 관찰해 사람이 보고 있는 문자나 도형을 영상으로 재현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물론 기초연구단계여서 속단은 이르지만, 뇌의 활동정보를 컴퓨터로 해독시켜 그것을 영상화하는 기술이 실용화된다면, 몸이 불편한 사람도 생각만으로 로봇이나 가전 등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굳이 장황하게 뇌의 생각과 컴퓨터의 영상재현 기술을 들고 나온 것은, 꿈만큼 달콤하고 슬프며 아슬아슬하고 무서운 서사적 콘텐츠는 없을 것이고, 이런 기술을 장악한 인터넷(IP)TV 사업자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의 뒤를 잇는 세계 미디어 제왕으로 군림할 것이기 때문이다.

IPTV는 이처럼 대담한 미래의 기술적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그것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미디어 진화의 궁극의 모습이다. 시각에 따라 다르겠으나 네트워킹 인프라 측면에서는 유선기반 광대역 고품질 네트워킹 환경(1.0시대) 유무선 통합 유비쿼터스(u)-인프라 환경(2.0),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UD(Ultra Definition)급 실감 미디어 네트워킹 환경(3.0)을 향한 출발이 새해 시작된다.

사업자 관점이라면, 통신사업자 중심의 닫힌 플랫폼(1.0)에서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 ISP, CP 등 다양한 사업자가 경쟁하는 개방적 플랫폼(2.0)으로 그리고 모든 이용자가 자유자재로 콘텐츠를 제작해 발신하는 전 국민 방송 플랫폼(3.0)으로 하면 어떨까. 단말 측면에서는 고해상도 TV·STB·PC 등 고정단말에서 휴대폰·컴퓨터·PDA 같은 고정과 이동연계 단말과 전자 페이퍼 디스플레이 등으로 나아간다고 보면 된다.

중요한 것은 담대한 안목으로 IPTV 전략을 치밀하게 준비하면서 진정한 블루 오션(only one)을 지향할 때, 세계는 ‘원더풀 IPTV 코리아 시대의 도래’라고 평가할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을 신출귀몰하게 다루는 청소년들이 매체의 주체가 되는 차세대 IPTV 환경에서 세계적 사업자를 꿈꾸자

[출처:전자신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 좀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qr-code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페이지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시민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재)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개인정보 처리방침

(재)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은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장을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개인정보 아이콘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진흥원은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개인정보 보호법」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1.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서비스 부정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 시 법정대리인의 동의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처리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2. 민원사무 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3. 개인정보파일의 등록 및 공개

「개인정보 보호법」제32조에 따라 등록·공개하는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비스명 개인정보파일명 처리목적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홈페이지

(www.jcia.or.kr)

홈페이지 회원명부

최신 정보안내

신규 서비스나 개발 및 마케팅 활용

전남드론산업지원센터

(www.jdrone.or.kr)

홈페이지 회원명부

홈페이지 회원관리

ICT이노베이션스퀘어

(www.jeonnamict.or.kr)

-

홈페이지 회원관리

목포벤처문화산업지원센터

(www.jnscc.or.kr)

입주공고 알림요청

홈페이지 회원 관리

전남콘텐츠코리아랩

(www.jnckl.or.kr)

홈페이지 회원명부

홈페이지 회원 관리

개인정보 아이콘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① 진흥원은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 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룰 수집 시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②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정보파일명 운영근거 보유기간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홈페이지

회원명부

정보주체의 동의

뉴스레터 해지시까지

전남드론산업지원센터 홈페이지

회원명부

정보주체의 동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홈페이지

회원명부

정보주체의 동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목포벤처문화산업지원센터 홈페이지

회원명부

정보주체의 동의

개인정보 삭제 또는 파기 사유가 발생할 경우
지체없이 파기

전남콘텐츠코리아랩 홈페이지

회원명부

정보주체의 동의

회원탈퇴시까지

개인정보 사람 아이콘

처리하는 개인정보 항목

진흥원은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처리업무

개인정보파일명 수집 개인정보 주소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필수)
성명, 연락처, 이메일, 고객 의사 내용 등

www.jcia.or.kr

전남드론산업지원센터

(필수)
이름, 생년월일, 성별, 로그인ID, 비밀번호,
자택 전화번호, 자택주소,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www.jdrone.or.kr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필수)
이름, 생년월일, 자택 전화번호, 자택주소,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www.jeonnamict.or.kr

목포벤처문화산업지원센터

(필수)
성명, 이메일,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www.jnscc.or.kr

전남콘텐츠코리아랩

(필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이동전화번호, 이메일, 패스워드, 지역

www.www.jnckl.or.kr

채용솔루션

(필수)
성명, 생년월일, 주소, 이메일, 연락처

www.jcia.fairyhr.com

2.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자동으로 생성·수집되는 개인정보항목이 있는 경우)

• IP주소, 쿠키, MAC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불량 이용기록

개인정보 3자 아이콘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① 진흥원은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 목적으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목적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1. 정보주체로부터 별도의 동의를 받는 경우
2.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정보주체 또는 그 법정대리인이 의사표시를 할 수 없는 상태에 있거나 주소불명 등 으로 사전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로서 명백히 정보주체 또는 제3자의 급박한 생명, 신체, 재산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등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5. 개인정보를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하면 다른 법률에서 정하는 소관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로서 보호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친 경우
6. 조약, 그 밖의 국제협정의 이행을 위하여 외국정부 또는 국제 기구에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7. 범죄의 수사와 공소의 제기 및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8. 법원의 재판업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9. 형 및 감호, 보호처분의 집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② 진흥원은 등록된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제1항 각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③ 진흥원은 제1항 각호의 경우에 해당하여 제3자 제공이 이루어지면 법령에서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제공 사실을 공지 또는 통보하겠습니다.

개인정보 위탁 아이콘

개인정보 처리의 위탁

① 진흥원은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명 위탁받는 자(수탁자) 위탁업무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홈페이지

㈜유오케이

홈페이지 유지 관리, 웹사이트 운영

전남드론산업지원센터 홈페이지

㈜몽컴즈

홈페이지 유지 관리, 웹사이트 운영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홈페이지

㈜몽컴즈

홈페이지 유지 관리, 웹사이트 운영

SW미래채움센터 홈페이지

소프트웨어지역개발협의회

홈페이지 유지 관리, 웹사이트 운영

목포벤처문화산업지원센터 홈페이지

㈜아이티에스

홈페이지 유지 관리, 웹사이트 운영

전남콘텐츠코리아랩 홈페이지

주식회사 오베네프

홈페이지 유지 관리, 웹사이트 운영

채용솔루션 FAIRY

㈜휴스테이션

채용홈페이지 유지 관리

평가시스템 운영

② 진흥원은 위탁계약 체결 시「개인정보 보호법」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③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정보 파기 아이콘

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① 진흥원은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절차
진흥원은 파기하여야 하는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해 개인정보 파기계획을 수립하여 파기합니다. 진흥원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선정하고, 진흥원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파일)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진흥원은 전자적 파일 형태로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도록 파기하며, 종이 문서에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여 파기합니다.

개인정보 권리행사 아이콘

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행사방법

① 정보주체는 진흥원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 열람·정정·삭제·처리정지 요구 등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 만 14세 미만 아동에 관한 개인정보의 열람등 요구는 법정대리인이 직접 해야 하며, 만 14세 이상의 미성년자인 정보주체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에 관하여 미성년자 본인이 권리를 행사하거나 법정대리인을 통하여 권리를 행사할 수도 있습니다.

② 권리 행사는 진흥원에 대해「개인정보 보호법」시행령 제41조 제1항에 따라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진흥원은 이에 대해 지체없이 조치하겠습니다.

③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제2020-7)”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의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진흥원은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합니다.

개인정보 안정성 아이콘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진흥원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개인정보 운영 아이콘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① 진흥원은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 쿠키의 이용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설정 아이콘

가명정보의 처리

진흥원은 통계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 등을 위하여 수집한 개인정보를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가명처리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하고 있습니다.

▸ 가명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 진흥원에서 처리하는 가명정보는 수집·이용 목적으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련법령에서 정하는 보유기간을 준용하여 이행하고 있습니다.

▸ 가명정보의 제3자 제공에 관한 사항

- 진흥원은「개인정보보호법」제28조의4제2항에 따라 가명정보를 제3자에 제공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가명정보를 제공받는자
2. 가명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보유 및 이용기간
3. 가명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이용목적
4. 제공하는 가명정보의 항목
5. 가명정보의 이용방법
6. 가명정보의 재식별 위험 관리

▸ 처리하는 가명정보 항목

- 진흥원에서 처리하는 가명정보는 최소처리 원칙을 준수하여 가명정보 처리 업무 목적에 필요한 최소한의 항목만을 가명처리 대상으로 선정하고,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항의 개인정보파일에서 가명처리 대상 항목을 추출하여 처리하고 있습니다.

▸ 가명정보의 파기

- 가명정보의 재식별 위험 발생 시 가명처리를 즉시 중단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 법 제28조의4(가명정보에 대한 안전조치 의무 등)에 따른 가명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에 관한 사항

-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개인정보 보호 아이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① 진흥원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오경문
직책 : 경영지원실장
연락처 : <061-339-6903>, <ogm@jcia.or.kr>, 팩스 : <061-331-5004>
▸ 개인정보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 기획인사팀
담당자 : 송은수
연락처 : <061-339-6991>, <dcesg@jcia.or.kr>, 팩스 : <061-331-5004>

② 정보주체는 진흥원의 서비스(또는 사업)를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진흥원은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개인정보 청구 아이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정보주체는「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진흥원은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열람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처리 부서

부서명 : 기획인사팀
담당자 : 송은수
연락처 : <061-339-6991>, <dcesg@jcia.or.kr>, 팩스 : <061-331-5004>

개인정보 구제 아이콘

권익침해 구제방법

①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 (www.kopico.go.kr)
2.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 (privacy.kisa.or.kr)
3.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②「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중앙행정심판위원회 : (국번없이) 110 (www.simpan.go.kr)

영상정보아이콘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① 진흥원은 아래와 같이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설치·운영하고 있습니다.

1.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근거·목적 : 진흥원의 시설안전, 화재예방
2. 설치 대수, 설치 위치, 촬영 범위 : 사옥 로비·전시실 등 주요시설물에 133대 설치, 촬영범위는 주요시설물의 전 공간을 촬영
3. 관리책임자, 담당부서 및 영상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자

기관명/부서 담당자 연락처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본원

서성봉

061-339-6994

전남콘텐츠기업지원센터

송민재

061-339-6978

SW미래채움센터

송용환

061-339-6974

전남글로벌게임센터

김록호

061-339-6929

목포벤처문화산업지원센터

정국환

061-280-7491

전남유틸리티자원공유센터

장수길

061-280-7402

전남콘텐츠코리아랩

김영랑

061-755-9526

전남 메타버스지원센터

박주혜

061-746-7622

ICT이노베이션센터

박건주

061-795-8809

4. 영상정보 촬영시간, 보관기간, 보관장소, 처리방법
- 촬영시간 : 24시간 촬영
- 보관기간 : 촬영 시부터 30일
- 보관장소 및 처리방법 : 각 건물의 영상정보처리기기 통제공간에 보관, 처리
5. 영상정보 확인 방법 및 장소 : 관리책임자에게 요구
6. 정보주체의 영상정보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조치 : 개인영상정보 열람·존재 확인 청구서로 신청하여야 하며, 정보주체 자신이 촬영된 경우 또는 명백히 정보주체의 생명·신체·재산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열람을 허용함
7. 영상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물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 접근통제 및 접근권한 제한, 영상정보의 안전한 저장·전송기술 적용, 처리기록 보관 및 위·변조 방지조치, 보관시설 마련 및 잠금장치 설치
8.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 및 관리 등의 위탁에 관한 사항
진흥원은 아래와 같이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 및 관리 등을 위탁하고 있으며, 관계 법령에 따라 위탁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기관명/부서 수탁업체 연락처

전남콘텐츠기업지원센터

ADT캡스

1588-6400

SW미래채움센터

ADT캡스

1588-6400

전남글로벌게임센터

ADT캡스

1588-6400

목포벤처문화산업지원센터

에스원

1588-3112

전남콘텐츠코리아랩

ADT캡스

1588-6400

전남메타버스지원센터

ADT캡스

1588-6400

ICT이노베이션센터

ADT캡스

1588-6400

9.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 방침의 변경에 관한 사항
이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 방침은 2023년 5월 2일에 제정되었으며, 법령·정책 또는 보안기술의 변경에 따라 내용의 추가·삭제 및 수정이 있을 시에는 지체 없이 본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변경사유 및 내용을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변경 아이콘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①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24. 11. 18.부터 적용됩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는 이메일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 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수단들로 무단 수집되는 것을 강력히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 시 정보보호등의 정보통신망 관한 법률 제 50조의 2와 65조의 2에 따라 형사처벌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정책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공공누리, KOGL)제1유형 공공누리

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합니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061-339-6900 공공저작물 저작권표시 안내

로딩중